기사 메일전송
집 팔아 산 백자’ 눈 뜨고 뺏기자 목숨끊어
  • 뉴스관리자
  • 등록 2008-08-22 02:45:11

기사수정
 
[문화칼럼] 고제희(대동풍수지리학회 학회장)


‘백자철사포도문호(白磁鐵砂葡萄文壺, 국보 제107호)’. 이 백자 항아리는 높이가 무려 53.8㎝ 달하며, 17세기 후반 궁중의 요(窯)에서 만들어진 걸작 중의 걸작이다. 알맞게 솟은 입에 어깨는 둥글고 풍요로우며 허리 아래는 힘차면서도 대담하게 좁아져 아랫도리의 맵시가 한층 돋보인다. 또 철사(鐵砂)의 포도 덩굴은 멋지게 뻗었고, 넓적한 포도 잎 사이로는 붉은 포도가 주렁주렁 열렸다. 포도 덩굴이 뻗어 나간 자취부터 순리에 따랐고, 그림이 차지한 공간도 더없이 적절하다.

시미즈 고지(淸水幸次), 그는 한국의 도자기를 무척이나 좋아했던 일본 골동상으로 그런 그에게 천하의 지인에게도 보여주지 않던 백자가 있었으니, 바로 ‘백자철화포도문항아리’였다. 그러나 1945년 일본이 전쟁에 패하면서 군정령에 의해 보따리 크기를 제한받자(배낭 한 개), 집안일을 돌봐주던 집사에게 이 항아리를 부탁하고 일본으로 떠나게 된다. 그러나 1년 뒤 방탕에, 도박까지 즐기던 집사 아들은 이 항아리를 골동상 권명근(權明根)에게 넘긴다. 권명근은 살던 기와집까지 팔아 단칸 월세방으로 옮겨가며 6000원을 주고 잔금을 치렀지만 기분은 두둥실 떠가고 있었다. 왜냐하면 이 항아리를 잘만 팔면 기와집이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고 끝에 악수’라고 ‘눈깔’이란 별명을 가진 한영호(韓永鎬)를 만나면서 일생에서 가장 가혹한 일을 겪게 된다. 한영호는 장택상(張澤相)의 심복 거간으로 절대적인 신임을 얻고 있었다.



장택상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까지 수도경찰청장으로 있으면서 서화, 골동을 즐겨 수집하다가 세상이 바뀌자 정치가로 탈바꿈한 인물이다. 항아리를 본 장택상은 매우 흡족해했고, 권명근이 부른 20만원의 가격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언제 돈이 올까 하며 애간장을 태우는데, 어느 날 갑자기 형사들이 들이닥쳐 권명근은 이유도 모른 채 종로 경찰서로 끌려갔다. 또한 그동안 물건을 맡았던 집사도 수차례 경찰서로 불려 다니며 조사를 받았다.

미리 짜놓은 각본대로 집사를 백자 항아리의 주인으로 간주하고, 그 아들이 훔쳐서 한 거래를 원인 무효화시키려는 술책을 꾸몄다. 억울한 것은 권명근이었다. 20여 일을 버티던 그는 결국 포기 각서를 써주고 풀려났지만 그 후 시름시름 앓다 나온 지 석 달도 못 돼 목매단 시체로 발견됐다.

그 후 절대적 권세를 누렸던 장택상도 권명근의 원혼(寃魂)에 얽혔는지 국무총리로 있다 몇 달이 못 돼 물러났다. 6·25전쟁이 끝나고 부산으로 환도한 후에는 대통령 선거에 나서 이승만과 겨루었지만 낙선하고 말았고, 선거 패배로 사정이 매우 어려워지자 이 항아리를 장규서(蔣奎緖)에게 넘긴다. 장규서는 이화여대 김활란 총장을 도와 이대박물관의 전신인 필승각(必勝閣)을 설립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인물로 박물관 기증을 전제로 백자 항아리를 필승각으로 넘긴다. 일금 1500만환. 당시 이화여대 신입생 1000명의 등록금과 맞먹는 큰돈이었다. 현재 이 백자 항아리의 추정 가격은 150억원 이상. 시미즈의 애환과 권명근의 한이 밴 이 천하의 명품은 그렇게 하여 이대박물관으로 들어갔고,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고제희(대동풍수지리학회 학회장) (@) | 등록일 : 2008.08.21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민주당 9대 시의회 후반기 원 구성관련 당론뒤집고 의장단 꿰찬 조용훈, 민병춘 ,김종욱 3인방에 " 당원권 정… 민주당  중앙당  윤리위는  9대 논산시의회  후반기  원구성과  관련해  지구당  당협의  결정사항을  뒤집고  상대당과  야합 [?]  의장 , 운영위원장 ,행정자치위원장  세  의정 주요직을 거머쥔  조용훈 의장 ,  민병춘  행정자치위원장  김종욱  운영위원장  등 3...
  2. 논산시의회 최초 지역구 여성의원 당선 기록 세운 최정숙 전의원 내년 지방선거 "가" 선거구 시의원 출마 … 논산시의회  최초의  지역구  출신 여성의원 [ 7대] 으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던  최정숙  [69]  전 의원이  내년  6월 3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논산시의회  가 선거구 [ 연무읍 ,강경읍 .채운면  양촌면, 벌곡면 ,은진면 ,연산면  가야곡면 ]시의원  출마입장을  밝혔다. 가야...
  3. [프로필] 민주 황명선 최고위원…3연속 논산시장 지낸 친명계 초선 [프로필] 민주 황명선 최고위원…3연속 논산시장 지낸 친명계 초선(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충남 논산시장을 내리 세 번 지낸 친명계 초선 국회의원.국민대 토목환경공학과 졸업 뒤 같은 대학 행정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서울시당 사무처장으로 정치활동을 시작했으며 2002년 새천년민주당 소...
  4. 건양대병원 총파업 돌입…"희생 강요 말고 노동조건 개선해야"(종합) 건양대병원 총파업 돌입…"희생 강요 말고 노동조건 개선해야"(종합)총파업 지켜본 환자·보호자, 일부는 지지하거나 항의하기도환아 부모들로 구성된 단체, 대전시 비판 기자회견 열어(대전=연합뉴스) 강수환 기자 =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 이어 대전 지역 상급종합병원인 건양대병원 노조도 28일 출정식을 열고 총파업에 돌입...
  5. 논산시 25년도 수시인사 단행 . 농업기술센터 강두식 농업지도관 승진과 함께 기술보급과장 발탁 눈길 ,… 논산시는  2025년도  수시인사를 통해  농업기술센터 등  8명의  직원에 대한  승진및 전부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수시인사를 통해  전임과장의  이직으로  공석이된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장에는  강두식  지방농촌지도사를  지방농촌지도관으로  승진과 동시에  직...
  6. "측천무후와 이세적 " "적당히 대처하고 원만히해결하라 " 측천무후와  이세적에  얽힌  일화에서  각박한 현세를 살아가는  우리모두에게 "매사에 적당히 대처하고  원만히ㅡ해결하라"는  처세훈을  배운다.이적[李勣]의  원래의 이름은 서세적(徐世勣)으로, 당 왕조 초기를 대표하는 이름 높은 명장들 중 한 명이다. 선배였던 이정이, 죽기 전에 자기가 가지고 있었...
  7. 논산 철도건널목서 열차·화물차 접촉 사고…60대 감시요원 숨져(종합) 논산 철도건널목서 열차·화물차 접촉 사고…60대 감시요원 숨져(종합)(논산=연합뉴스) 강수환 기자 = 29일 오전 9시 44분께 충남 논산시 부적면 호남선 논산∼연산 구간 철도건널목에서 무궁화 열차와 건널목에 진입한 1t 화물차 간 접촉 사고가 발생했다.주변에 서 있던 철도건널목 감시요원인 A(60대)씨가 사고 충격으로 튕겨 나간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