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웨이 유성원 기자】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수사중인 검찰이 17일 민주당 안희정 최고위원에게 수억원의 정치자금 의혹에 대한 확인조사에 들어가자 민주당은 크게 반발했다.
대전지검 특수부는 계좌추적을 통해 강 회장이 지난 2005년 안 최고위원에게 추징금으로 1억원외에도 수억원을 계좌 등으로 이체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언론에 보도하기 시작했다.
검찰은 안 최고위원의 대가성 여부를 따지기 위해 당시 정치활동 자금으로 씌였는지 조사를 벌이고 있다.
민주당은 검찰이 발표한 사실과 일부 다르다며 급기야 기자회견까지 자처해 나섰다.
바로 민주당 백원우 의원인데, 백 의원을 중심으로 그당시 서갑원 의원등 일부 현역의원들과 안 의원의 가까운 지인, 학생동문을 중심으로 추징금을 마련하는데 직접적 연관이 있었다고 본인 스스로가 밝히기도 했다.
백 의원은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안희정 추징금 납부와 관련, 검찰의 여러 의혹에 대한 문제를 공식 제기했다.
이는 검찰의 맞지도 않는 사실을 가지고 언론플레이 하는 것은 이번 '용산참사'와 '청와대이메일' 사건 등을 여론에 파묻히기 위한 일종의 '정치적 의도' 가 깔려 있는것 아니냐고 점쳤다.
그럼 강 회장의 돈이 어떻게 해서 들어 왔을까? 하는 대목이 가장 궁금한 점이다.
당시 백 의원의 보좌관으로 일했던 윤 모씨의 국회 월급통장을 확인한 결과 2005년 1월6일, 부산은행 인터넷뱅킹을 이용해 강 회장이 송금한 1억원이 계좌 이체 된것이 확인 됐다.
이 계좌를 통해 확인된 송금만 해도 3억 800만원. 강 회장의 1억원을 송금한 것을 비롯해 무려 '13차례' 에 걸쳐 마련된 금액이다.
이 금액은 서갑원 의원 3천만원과 백 의원 3천만원, 유 모의원 1천만원이 대출과 현금으로 마련된 별도의 금액인것으로 전해졌다.
이것은 그당시 청와대 근무했던 직원들과 함께 모은 돈으로 90여명의 지인들이 함께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 최고위원도 추징금 납부를 위해 자택을 팔아 전세로 돌리며 마련한 5천5백만원도 그때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최고위원은 본인이 생계를 꾸리기 위해 당시 안희정이라는 사람은 출입할수 없었을 뿐아니라 2006년부터 강 회장과 함께 사회이사로도 근무했다.
사회이사로 재직시 안 최고위원은 정식 급여를 받았고 임원으로도 대우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즉, 정치를 그만두고 일반기업에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생계유지를 꾸려나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현재까지 안 최고위원은 고문으로 등록 돼 있다. 하지만, 안 최고위원이 급여를 받고 있던 사회월급 통장과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4억 9천만원 추징금 중, 3억8백 만원과 5천5백 만원을 뺀 나머지 1억3천만원은 법원에 수시로 납부했다고 백 의원은 밝혔다.
그렇다면 왜 보좌관 통장을 이용했을까?라는 차명계좌 의혹의 여지다.
이에 대해 백 의원은 보좌관 계좌 이용에 대해 "안 최고위원의 추징금 납부를 위해 모금도중 계좌논의를 벌이는 과정에서 내 계좌명의로 모금을 벌이겠다고 직접 내가 나서서 주장했다" 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 자금이 우려와 재산상 등록 부담이 있다고 생각해 보좌관의 국회 월급통장(농협)을 이용해 (90여명의 추징금을)모았었다" 고 털어놨다.
이렇듯, 민주당은 검찰의 차명계좌 의혹에 대해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검찰의 '언론흘리기' 가 아니냐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부분이다. 한마디로 검찰의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언론플레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백 의원은 "이번 사건을 검찰이 100% 흘리는 것은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검찰의 행위가 아닌가 봐진다" 며 "(검찰이)찔금 찔금 흘리는 것은 안되고 당사자 소환과 소명을 (직접)요구 해야 된다" 며 검찰을 향해 촉구하기도 했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pressdot@newsway2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