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조임금 때 사계 김장생선생이 후학양성을 위해 강경 황산동 죽림서원 윗편에 세운 임이정 현판 ]
논산[論山]의 지명 "위대한 말씀의 고장 "으로 재정립 해야 한다
우리 논산은 공맹[孔,孟]의 가르침을 이어받은 위대한 선유[先儒]의 말씀 [論]이 산[山]을 이룬 명예로운 고장이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논이 많고 산이 많아서 논산이라고 이름 지었을 것이라는 논리대로라면 논과 산들이 즐비한 대한민국 그 어느 땅인들 논산이 아니겠는가 ?
논산[論山]이라는 지명은 일제 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노성 ,은진, 연산 3현[縣 ]에 부여 석성면 일부지역을 포함해서 논산군[論山郡 ]으로 명명했다,
당시 일본이 이 땅을 강점한 시기였지만 당시 지명을 정한 조선 총독부의 조선 관리 가운데 그 누군가 우리 논산이 조선조 성리학을 사람의 도리를 밝히는 예론으로 재정립, 예학의 학문적인 체계를 바로 세운 사계 김장생 선생을 필두로 그 문하의 아드님 신독재 김집,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등 명현 거유의 말씀이 무성했음을 간파했을 수 있을 것이고 그연유로 하여 말씀 논산[論]字를 써서 말씀의 고장 논산[論山]으로 명명 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 천하의 영재들을 불러 모아 나라 경영의 치도를 비롯한 다양한 학문을 익히고 당대 석학들이 모여 시대담론을 짓던 강경의 죽림서원이나 얼마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돈암서원을 비롯한 10개의 서원과 은진 노성 연산 3향교 그리고 이 나라에 두 곳뿐인 공자의 영당을 모신 궐리사가 노성에 있음도 고려됐을 수가 있겠다.
더욱 조선 8대문장가인 구봉 송익필선생과 그 적전 제자인 사계 김장생, 또 그를 우러르는 수제자 우암 송시열 선생의 3대 사승 관계가 빚어내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얽혀 있는 강경 임이정과 팔괘정이 갖는 유가의 문화적 가치를 꿰뚫어 봤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기록을 더듬어 봐도 우리 논산을 말씀의 고장이라는 의미를 담아 논산[論山]으로 명명했다는 근거를 찾지못하고 있다,,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또 논이 많고 산이 많아서 논산으로 정했다는 근거 또한 애매모호하다..
두 주장을 펴는 이들 모두 모두 그럴 것이다, 그랬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내세울 뿐이다,.
이쯤이면 논산시민의 이름으로 논산[論山] 은 말 그대로 말씀[論]이 산[山]을 이룬 위대한 고장이라는 의미를 담아 지명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자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고 그 당위성은 쉽게 부정당할 논거가 희박하다
중국의 동북공정을 보라 저들은 고구려 발해 역사도 저들 것 이라고 억지 주장을 해대고 있고 일본인들은 우리고유의 영토인 독도마저 저들 거라고 우겨대고 있잖은가?
이런 시점에서 논산시민의 이름으로 우리 논산은 위대한 선현들의 말씀이 산을 이룬대서 붙여진 “말씀의 고장” 이라 선언한대서 그 누군들 딴지를 걸어올 이유가 있을리 없다.
누가 뭐래도 이 문제를 푸는 첫걸음은 지방자치단체장의 결단에 있어 보인다,
유형은 다르지만 비슷한 사례가 있다,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 수락산 가장골에 잠든 계백대장군의 묘비에 대한 일화다
지방자치가 실현되기전의 한 임명직 군수가 재임초기 계백장군 묘역에 세워진 묘비의 “백제 계백장군 묘” 글자의 앞에 새겨진 “傳” 자에 대해 불만을 제기 했다.
장군의 묘소가 당국의 고증을 받은바 없어 “ 전해져 내려오는 바에 의하면 ” 이라는 뜻을 담은 “傳” 자 한자가 장군을 모독하는 것이고 참배객들의 발길을 주춤하게 한다는 논리를 펼친 끝에 당시 이모 군수는 자신의 책임아래 傳 자가 새겨진 묘비를 파묻어 버리고 지금의 온전한 묘비를 새로 제작해 세우도록 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별소리 다해도 당시 그 군수의 결단은 칭찬 받아 마땅하다 . 그 뒤에 그 누구도 이 문제와 관련해 딴지를 걸어왔단 소리를 들어본 일이 없다.
바라거니와 논산의 지명유래와 관련해서 지자체장의 결단을 요구해 마지 않는다.
억지 춘향격으로 없는 이야기를 새롭게 꾸며내자는 것이 아니다,
논산의 지명이 “ 위대한 말씀의 고장 ” 이라는 그 논거를 찾아내 논산시민 스스로의 자존감을 되찾자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스토리텔링 팀이라도 가동할 일이다.
논이 많고 산이 많아 논산이라 했다면 그런 논리라면 그것은 대한민국 전체를 일컬음이다.궁색하기 짝이없는 억지춘향이다.
누가 뭐래도 우리 논산 [論山]은공맹[孔,孟]의 가르침이 중심한 선현의 말씀이 무성한 데서 비롯된 위대한 말씀의 고장이다.
다시한번 지자체장과 주류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역 역사학자 향토 사가들의 천착과 성찰을 바탕으로 결론을 짓고 11만 논산시민의 이름으로 우리 논산 [論山]이 " 위대한 말씀의 고장 " 임을 선언 하자는 고언을 드린다.
29년전 당시 논산시의회 의원이던 필자는 시의회에서 논산시의 지명유래와 관련해 "말씀의 고장 논산 [論山]" 으로 정의하고 이를 선포하자고 제안한바 있으나 논이 많고 산이많아 논산으로 정했을 것이라는 반론을 극복하지 못하고 30년 가까운 세월 비원으로 가슴에 남기고 있다.
개인의 소망과는 상관없는 일이다,수백년을 대물려 살아온 우리 선대 논산인들의 사람다운 사람의 길을 끊임없이 추구해온 끝 사계 김장생 선생께서 조선성리학을 예학[禮學]으로 재정립한 그 위대한 논산정신을 새롭게 발현해 길이 전승하는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어서 더 그렇다.
이름없는 백두 서생의 고언이 4대 효자가문의 후예인 백성현 시장의 귓가에 닿기를 간절히 바라는 맘이다.
굿모닝논산 대표 김용훈
김대중 대통령 잠저시 수행비서 / 박정희 정권 말기 민주화운동 으로 투옥 [대통령긴급조치 9호 [ 정부로부터 민주화운동관련자 인증서 수교]/ 전두환 정권에 의한 정치활동규제자로 정치활동 금지[2차해금자 ] / 전농출범 전 논산군농민연합회결성 수세페지운동 주도 / 제2대 논산시의회의원 / 새정치국민회의 충남도지부사무처장 / 집권 새천년민주당 충남도지부 사무처장 / 민주당 중앙당 미디어특위 부위원장 / 충남 인터넷신문 협회 회장 /논산시 기자협회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