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훈련소 정문 일본신사 본떴다,문제 제기한 전낙운 전도의원 , 백시장 철거 예산 확보에 감사 국민신문고에 문제제기. 논산시 철거 신축예산 10억 확보, 낭보에 만시지탄 으로 환영 편집국 2023-01-19 19:53:23



KBS에서 "훈련소 정문 철거" 관련하여 인터뷰하자고 연락이 와서 갑자기 훈련소를 가게 되었다.


발단은 이랬다. 2019년 일본을 여행하면서 신사 정문(#도리이)을 보고 '어디서 많이 보던 정문이다'라고 느끼는 순간 #육군훈련소_정문이 떠올랐다. 배신감이랄까 깜짝 놀란 기분이 든다.


국민신문고를 통해 국방부에 철거민원을 냈다. 그리고 4년이 지났다. 이제사 국방부에 정문 신축예산 10억여원이 세워짐으로써 철거 제안자로서 인터뷰 신청이 온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 신사 참배에 관련된 비극은 강요와 거부. 투쟁과 옥살이로 점철돼 있다. 일제는 #신사참배를 하면서 "#황국신민_선서문"인 "우리는 합심하여 천황폐하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고 구호 제창을 강요하였다. 내선일체를 앞세운 민족말살 시책이었다.


▲ 일본 전범들의 위패를 모신 일본신사의 출입문 모습


당시 도청, 시ㆍ군청. 읍ㆍ면사무소가 있는 1039곳에 신사가 세워졌다. 신사가 없는 학교. 관공서. 기업은 물론 일제 탄압에 굴복한 교회. 성당까지 신사를 향하여 조례나 집회후 황국신민 선서를 구호로 외쳤야 했다.


지금도 일본에는 8만6천 신사가 등록되어 있고 등록되지 않은 신사까지 2~30만 개소로 추정하고 있다. 국교가 없는 일본에서는 민속신앙인 "신도"가 국교를 대행한다고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중 대표격인 신사가 '야스쿠니신사'이다. 그곳에는 조선침략의 원흉이자 안중근 의사가 저격한 이등박문을 비롯하여 충청도에서 벌인 청일전쟁과 평안도와 진해바다에서 육.해전을 치룬 노일전쟁 전사자는 물론 2차대전을 일으킨전쟁범죄자 등 246만명의 위폐를 모시고 호국신으로 추모하고 있다.

▲ 현재의 육군훈련소 정문



그뿐 아니라 왜구로 노략질하다 죽은 자나 임진왜란 침략자를 추모하는 신사들도 있다. 또한 개구리를 신격화한다거나 이런저런 토속신앙을 모신 잡신 신사도 많다.


이런 신사들의 정문으로 하늘 천자 형상의 '도리이'가 정착되었다. 이같은 신사 정문이 어떻게 정병육성의 요람이자 호국의 성지인 훈련소 정문에 버젓이 서 있느냐 말이다. 치욕 아닌가!


많은 분들이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반색을 한다. 혹자는 그러면 강경의 근대문화도 철거해야 되느냐고 경계심도 표시하는데 신사와 일반 건축물을 구분짓지 못하는 무지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참고로 강경의 신사는 옥녀봉에 있었고 침례교회는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시작한 곳이다)


'독립운동은 못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고 풍성한 말잔치를 앞세워 정략에 몰두하면서도 왜? 모른척 했는지? 그러는 동안 신문고에 답변을 준 훈련소는 왜? 자신들 정문 문제에 손을 놓고 있었는지. 한심하고 답답할 따름이다.


예산이 세워지도록 노력한 백성현 시장에게 감사하다. 방문하신 독자님들 모두가 즐거운 설명절 되시고 힘차게 계묘년을 시작하시기를 축원드린다.


전낙운 [ 육사졸업 ,육군대령 전역, 충남도의회의원 역임 ]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