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군자[君子]의 세가지 락[ 樂]과 효[孝]의 시작과 끝 편집국 2022-08-16 17:35:35


▲ 논산공설운동장에서 바라본 계룡산의 운무

맹자[孟子]의 군자유삼락 [君子有三樂]


군자에게는 세가지의 낙[樂]이 있다. 군자유삼락 [君子有三樂] 이라한다.그러나 군자의 세가직 낙[樂]에 임금이 되어 부귀를 누리는 것은 포함되어 있지않다


군자의 첫번째 낙[樂]은 부모가 나란히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며 하늘을 우러러서도 사람 들에 대해서도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번째 낙[樂]이며 천하의 영재를 얻어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세번째 낙[樂]이다.


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낙야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득천하영재이 교육지 삼락야 [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仰不愧於天俯作於人 二樂也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 而王天下不與存焉]

효도의 시작과 끝


내 몸과 머리 카락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니 다치거나 상하게 하지않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며 도[道]를 깨달아 입신양명 하여 그 부모의 이름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도의 끝이니라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입신행도 양명어 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是也,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