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굿모닝논산이 권하는 책 "강희대제"
  • 뉴스관리자
  • 등록 2011-02-11 17:36:16

기사수정
 
출판사서평

1. 1부에서는 여덟 살 어린 나이에 떠밀리듯 즉위한 강희제가 극악무도한 권신들과의 싸움에서 지혜로운 대승을 그리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2부에서는 오삼계(吳三封)로 대표되는 삼번(三藩)의 세력을 과단성있게 제압하고 명나라의 잔존 세력을 완전히 뿌리 뽑는 얘기를 다루고 있다. 3부에서는 강희제가 친히 원정길에 올라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고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고, 몽고와 티벳을 복속시킴으로써 진정한 천하의 주인이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4부에서는 노년이 된 강희제가 35명이나 되는 황태자 중에서 후계자를 바로 세우는 과정과 그를 통한 애민의 사상을 그리고 있다. 1부 '탈궁(奪宮)'에서는 여덟 살 어린이라고 보기엔 놀라울 만콤 똑똑하고 명석한 강희제가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강희제는 선제(先制) 순치제를 열심히 보필함으로써, 그 업적을 인정받은 4명의 대신을 믿고 따르지만 진작부터 '잿밥'에만 눈독을 들이고 어린 강희제를 유명무실한 꼭두각시로 밖에 치부하지 않은 오배(鰲拜)세력에 의해 신변의 위협을 받는다. 당시 오배는 군부 실세였고, 선국의 제후들을 손아귀에 넣고 마음대로 요리하며 어린 강희제에게 무언의 압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강희 주변에는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는 문무대신들이 절대 복종을 신조로 삼고 강회제를 보필한다. 지나치게 곧은 성품 때문에 수차 과거에 낙방한 수재 오차우(伍次友)를 비룻해 태황태후 효장(孝莊), 그리고 시녀라고 칭하기엔 너무 영악하고 충성스런 여인 소마라고(蘇麻羅故). 이들의 사심없는 충효와 지지에 힘입어 강희제는 점차 봉건통치를 배우고 청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유능한 황제로 되기 위한 배짱을 키우고 세력몰이에 성공한다. 수년간 오배의 강압적인 약탈에 땅과 가옥을 빼앗기고 거리로 내몰린 몰락한 지주세력들과 양민 지식인층을 보듬어 안고 돌아선 민심을 수습하면서 강희제는 마침내 거대한 친위세력을 확보하괴 마침내 15살 때 용의주도한 대적 오배를 생포하고 자기의 기반을 튼튼히 다지기에 성공한다.

미디어서평

1. 강희대제 二月河 역사소설 한미화 옮김, 출판시대 현대 중국 지도자들의 좌우명 중에 ‘계급용인’이란 말이 있다고 한다. ‘조급함을 버리고 인내심을 갖는다’는 뜻이다. 속칭 ‘만만디’의 중국식 해석이라고나 할까. 최근 중화권 독서계는 300년 전 청나라 황제들의 일대기를 소설로 정리한 이월하 작 ‘제왕삼부작’이란 거대 역사소설에 점령당하는 분위기인데, 이들의 통치술이야 말로 바로 ‘계급용인’의 원형이랄 만하다는 평가다. 그 ‘제왕삼부작’의 1부인 ‘강희대제’ 일부가 최근 우리말로 번역돼 나왔다.
청나라 4대 황제인 강희제의 재위기간은 61년이다. 여덟살 어린아이로 황제의 자리에 오른다는 사실 자체가, 친정의 불가함을 뜻한다. 아버지인 순치제 부터가 그랬다. 여섯살에 즉위해, 숙부의 섭정에 의존하다 20대 중반에 죽고 말았다. 그래선지, 순치제는 죽기 전에, 네명의 대신으로 하여금 어린 새 황제를 보좌토록 유언했다. 이럴 때, 정치적 변수의 역할이란 어찌보면 미미한 것 아니던가. 보정 대신들의 합종연횡은 절대 권력을 지향할 터이고 ‘황제’는 허울이 될 것이고 그의 자리는 위태로워진다.
그런데, 어린 강희제는 ‘허울’로 남기를 거부했다. 16살에 일찌감치 권신들을 숙청하고, 이후로도 50여년을 황제로 지내며 이후, 옹정제, 건륭제로 이어지는 청나라의 전성기를 출발시켰다. 즉위 첫날, 자신과 가깝게 지내던 유모에게 장난치며 안겨갔던 어린 황제는 어떻게 노회한 대신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제왕의 길을 닦았을까.
소설의 장면을 보자. 네명의 대신 중 개국공신이기도 한 오배는 강희제의 존재는 아랑곳 않고 권력을 독점하기 시작한다. 모반의 기색마저 느끼던 강희제는 어느날 오배를 부른다. 그리고는 이 역전의 권신에게 무술 실력을 시연해보이도록 한다. 측근을 쓰러뜨린 후 오배의 불손한 행동. 강희제는 그에게 ‘정말 대단하군’이라고 말할 뿐이다.
그리고 천천히 오배를 제거한다. 즉각적인 사형을 권고하는 신하들의 뜻을 물리는 대신, 강희제는 오배를 요즘말로 하자면 ‘가택연금’에 처할 뿐이었다. 권력자이던 오배와 수년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로 죽음을 두려워하고 있을 숱한 세력가들을 그렇게 자신의 품 안으로 끌어들여 오배의 손발을 잘랐다.
우리말로 번역된 소설 ‘강희대제’ 3권은 일단 친정제체 구축에서 멈춘다. 앞으로 전개될 내용의 큰 얼개야 역사책에 나온 대로다. 10대에 정권을 안정시키는 듯 하지만, 머지않아 오삼계 등이 주도한 삼번의 난. 28살에 이를 평정한다. 30살에 대만 흡수, 36살에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고 남하를 저지. 다시 거란 정벌과 티벳 복속. 중년에 들어서는 문화에 힘써 중국 최대의 분류서라는 ‘고금도서집성’을 편찬하고, 예수회 중심의 선교사들로부터 서양의 학문과 기술을 받아들인다.
언제나 건조하기 마련인 연표상의 역사다. 그러나, 중국의 문단 일걸로 불린다는 작가 이월하는 “독자들을 ‘매수’하기 위해 역사를 시로 쓴다”고 다짐했다. 그리고, 이월하가 그린대로의 ‘계급용인’의 제왕학은 이미 1000만의 중국 독자들을 사로잡았다고 한다. - 조선일보 -
2. 중국의 황제를 천자(天子)라고 부른다. 하늘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국가권력을 독점한 황제는 하늘과 땅 이외에는 두려운 것이 없는 지고의 존재이다. 백성들은 물론 신하들의 생사여탈권을 손에 쥐고 있는 공포의 대상이기도 했다. 중국 황제의 권력은 신권(神權)에 버금갈 만큼 막강한 것이었다. 그런 중국에 백성을 섬기고, 인민의 민생을 살피기에 총력을 기울인 황제가 있었다. 요즘 고객만족 경영을 표방하는 기업가들이나 말하는 "정성으로 섬기고 서비스에 최선을 다 하겠다"는 국가경영 방침을 공공연히 표방했던 임금이다.
멀지도 않은 17세기의 일이다. 그 주인공은 바로 청나라의 3대 황제 강희제이다.
62년간 보위를 지키면서 소수민족인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를 세계적인 대제국으로 일으켜 세운 강희제의 삶을 다룬 대하소설 <강희대제>(얼웨허 지음 한미화 옮김 출판시대 펴냄)가 출간됐다.
강희제 하면 우선 떠오르는 게 <강희자전>. 4만9,000여자가 수록돼 있어 오늘날 한문사전의 표본이 되고 있는 책이다. 이밖에 당나라의 시를 모은 <전당시>, 주자학과 관련된 <주자전서>와 <성리대전> 등도 강희제의 지시로 편찬됐다. 그는 학구열이 대단한 사람이었다. 책을 보다가 피를 토할 정도로 면학에 힘썼는가 하면 한인 출신의 유학자에게서 주자학을, 예수회 서양인 신부로부터 자연과학을 전수받는 등 배움에 있어서 물불 가리지 않았다. 이처럼 학문에 열정적으로 매달린 강희제였지만, 결코 문약한 황제는 아니었다. 그는 대단한 무력을 과시한 황제였다."삼번의 난"을 진압함으로써 명나라의 잔존세력을 일소하였고 네르친스크 조약을 통해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시켰으며, 타이완과 티베트를 중국의 영토에 복속시켰다. 현재 러시아 다음으로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있는 중국의 지도는 이 시기에 대체적인 윤곽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 강희가 중국 역사에서 손꼽히는 명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독특한 통치철학에 힘입은 바 크다. 강희의 통치철학은 한 마디로 "국궁진력(鞠躬盡力)"으로 요약된다. "국궁"은 존경하는 마음으로 몸을 구부린다는 뜻이고, "진력"은 온 힘을 다한다는 의미이다. 당시 동아시아 왕조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발상이다. 당연히 신하들이 "국궁진력이란 말은 신하가 쓰는 말이므로 황제가 쓰기에는 적당치 않다"며 펄쩍 뛰었다. 그러나 뜻을 굽힐 강희가 아니었다. 오히려 한술 더 떠 "짐은 하늘의 종이기 때문에 어떤 일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다. 군주라는 것은 죽을 때까지 쉴 수가 없는 것이다"라며 묵묵히 국궁진력을 실천했다. 각설하고, 이제 청나라의 황금시대를 연 강희제의 삶과 철학이 담겨있는 소설 <강희대제>로 들어가 보자. <강희대제>는 전체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 "탈궁"에서는 여덟 살 어린 나이에 떠밀리듯 즉위한 강희제가 오배를 비롯한 극악무도한 권신들과의 싸움에서 지혜롭게 승리를 거두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2부 "삼번의 난"에서는 청년기에 들어선 강희가 오삼계로 대표되는 삼번의 세력을 과감하게 제압하고, 명나라의 잔존세력을 완전히 뿌리뽑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3부 "천하통일"에서는 강희제가 몸소 원정길에 올라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고 네르친스크조약을 맺는 한편, 타이완과 티베트를 복속시킴으로써 진정한 천하의 주인이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4부 "후계자"에서는 말년의 강희제가 35명이나 되는 황태자 중에서 후계자를 올바로 세우기 위해 애쓰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강희제는 국가경영이 민의와 국익에 충실해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원칙을 우직하게 지켜내면서 사익에 눈이 멀어 패악을 일삼던 부패한 무리들을 몰아낸 성군이요, 난세를 가다듬어 번영의 새 시대를 열어 젖힌 영웅이었다. 대하소설 <강희대제>는 지금 난세를 살아가는 우리나라 정치인과 기업인, 일반 국민도 한번쯤 읽어봄직한 책이다. 그리고 곱씹어 볼 일이다. 난세일수록 원칙을 바로 세우고, 지켜나가야 한다는 평범한 진실을. - 한국일보 -
3. 좋은 읽을거리로서의 대중소설이 메시지도 소홀히 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보여준다.
우선 중국 최고 권위의 마오둔(矛盾) 문학상을 수상했고, 미국에서는 올해의 아시아 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던 작가 얼위에허는 서문에서 역사서라기보다는 독자의 흥미를 위한 서술을 약속했고, 이 약속은 서술 내내 지켜진다.
게다가 강희 재위시의 역사적인 사건을 소홀히 하지 않고 있어 강희대제 재위 60여년간(1662~1722) 을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당시 30만명의 만주족이 조직한 팔기군으로 1억5천명의 한족을 통치하기 위해, 그리고 다수의 백성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제왕상(帝王像) 을 볼 수 있는 것도 이 책을 "권력 무협지" 그 이상으로 만들어놓고 있다.
만주족이 소수 민족으로서 청조(淸朝) 를 건립하고 2백68년이라는 장기간 동안 중국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누르하치가 여진 부족들을 팔기로 조직하고, 이를 기초로 홍타이지와 순치제가 청조의 면모를 갖췄으며, 강희제가 제반 통치제도의 기초를 확립하고 옹정제가 이를 제도화했기 때문이었다.
명조(明朝) 붕괴 후 중국 제국의 면모를 갖출 수 있었던 것은 만주족 지도층의 중국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이해를 토대로 했음을 이 소설은 알려준다.
12권의 <강희대제>로 중국 역사를 모두 이해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하지만 적어도 이 "영양가 있는 대.중소설"로 중국 정치가들의 자질을 가늠해볼 수 있는 것은 다행스럽다.(중앙일보)

================================================================================
사이버차이나 중국사 모임에 자세히 기재가 되어있다고하네요...

본기 : 강희제 (康熙帝)

(병)Kangxi (웨)K'ang-hsi.
1654. 5. 4∼1722. 12. 20 베이징.

청(淸)나라의 2대 황제(1661~1722 재위).

연호는 강희, 이름은 현엽(玄燁), 묘호는 성조(聖祖). 청제국에 러시아의 일부 지역과 외몽골을 합병시켰고 티베트에까지 세력판도를 넓혔다. 4개의 대외무역항을 개항했고 서구의 교육, 예술, 천주교의 도입을 장려했다.


유년시대

현엽은 순치제(順治帝)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효강장(孝康章) 황후는 명문가 '퉁'씨 출신의 유명한 만주족 장군인 툴라이[圖賴]의 딸이었다(만주족은 만주지방에서 사는 퉁구스족을 말하며 명을 정복하고 1644년 청을 세웠다). 1661년 2월 순치제가 천연두로 23세의 나이에 갑자기 죽자 현엽은 5명의 형제를 제치고 즉시 제위에 올랐다. 그렇게 된 것은 그의 어머니가 다른 형제들의 어머니보다 지위가 더 높았기 때문이었다. 그의 연호인 강희(만주어로는 에레타이핀)는 평화로운 조화를 뜻한다.

등극한 황제가 아직 7세도 되지 않은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선제(先帝) 때의 공신인 소닌·숙사하·에빌룬·오보이가 정권을 담당했다. 보수적인 만주족 출신인 이들 4명의 대신이 취한 첫 조치는 십삼아문(十三衙門)을 폐지하고 내무부(內務府)를 설치한 것이었다. 십삼아문은 선제인 순치제 때 도입한, 황실 내의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전 왕조인 명대에 번성했던 환관제도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었다. 십삼아문은 모두 한족(漢族) 출신 환관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설치된 이래 만주족들의 혐오를 받아왔다. 십삼아문 대신에 내무부가 설치되면서 그 구성인원도 만주족 출신의 충성스런 종복들로 바뀌었고 황제의 사생활은 이들이 관장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청조는 환관들이 정사(政事)에 개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점은 다른 많은 왕조들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것이다. 특히 명대에는 환관들이 실권을 장악하게 되어 비참한 결과를 초래하는 일이 자주 있었다.

1667년 13세가 된 강희제는 소닌과 다른 대신들의 자문을 받아가며 정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그의 선제도 13세부터 통치했음 ). 그러나 실권은 여전히 4명의 대신에게 있었다. 소닌이 죽자 오보이가 정권을 장악했고 날조된 죄명을 뒤집어씌워 숙사하를 처형한 뒤, 에빌룬을 위협하여 복종시켰다. 1669년 강희제는 할머니인 태황후와 한족 출신 태부(太傅)의 도움을 받아 오보이와 에빌룬을 제거했다. 오보이가 실제로 체포된 것은 황제의 알현실에서였다. 황제의 뒤에 숨어 있던 젊은 무사가 오보이에게 갑자기 덤벼들어 체포한 것이다. 15세가 된 강희제는 이같은 조치를 취함으로써 백성들에게 자신이 진정한 군주임을 입증했다.


실권의 장악

실권을 장악하게 되자, 강희제는 중국 남부의 세 번왕(藩王)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중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세 번왕이란 윈난[雲南]의 오삼계(吳三桂), 광둥[廣東]의 상가희(尙可喜), 푸젠[福建]의 경계무(耿繼茂 : 그가 죽은 뒤 아들 耿情忠이 뒤를 이었음)를 가리킨다. 이들은 중국의 군벌로서 강력한 군사력을 갖고 있었으므로 만주족이 명을 정복하기 이전부터 만주족 진영의 환대를 받아왔다. 1644년 순치제가 베이징에 입성할 때 중국의 다른 지역들은 여전히 명의 잔군(殘軍)과 비적(匪賊)의 수중에 있었는데, 세 군벌이 이들의 진압에 크게 기여했기 때문에 왕(王)으로 책봉되었고, 사병(私兵)을 보유한 채 중국 남부를 다스리게 되었다. 사실상의 치외법권을 누리고 있던 이들 세 번왕이 베이징의 중앙정부에 큰 위협이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같은 국면을 전환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1673년에 찾아왔다. 상가희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사병의 지휘권을 포기하고 고향인 만주로 은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온 것이다. 강희제가 이 제의를 즉각 받아들이자 다른 두 번왕들도 예의상 똑같은 제의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그들의 제의를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곧 전쟁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되자 만주족이 베이징에 입성할 때 큰 공을 세운 오삼계의 강력한 군대와 일전(一戰)을 각오해야 하는 중대 문제가 어전각의에 제기되었다. 젊은 강희제는 오삼계의 군대를 쳐부수겠다는 단호함을 보이면서, 세 번왕이 결국은 조정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킬 것이 확실한 이상 이 기회에 그들을 제거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같은 결정에 충격을 받은 오삼계는 즉각 만주족에 대항하여 군사를 일으켜, 삼번(三藩)의 난이 일어나게 되었다. 개전 초기에 관군(官軍)이 밀리게 되자 차하르 몽골족(만주족이 1635년 내몽골을 정복하기 전까지 이 지역을 다스렸던 왕족)의 부르니가 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그 여파로 그밖의 다른 동아시아 제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강희제의 추진력과 탁월한 군사전략이 마침내 늙은 오삼계를 압도했고, 오삼계는 베이징으로 진격할 생각도 하지 않은 채 황제임을 선포한 뒤 곧 죽고 말았다. 관군이 1681년 윈난의 쿤밍[昆明]에 입성하면서 반란은 진압되었고 왕조는 굳건하게 되었다.

세 번왕을 제거하고 난 뒤에 강희제는 타이완 정벌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당시 타이완을 다스리고 있던 정(鄭)씨 일가는 원래 푸젠 출신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광대한 중국 연안에서 해상무역을 독점해온 해상세력이었다. 만주족에게 복속되는 것을 거부한 정성공(鄭成功 : 서방에는 콕싱가[國姓爺]로 알려져 있음)은 1662년 네덜란드로부터 타이완을 빼앗고 근거지를 타이완으로 옮겼다. 그의 자손들은 타이완에서 청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청은 해군력이 없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타이완 정벌을 수행할 수 없었다. 1661년에 채택된 청의 유일한 전략은 푸젠 연안의 주민을 내지(內地)로 강제이주시켜 정씨 일가를 고립시키는 것이었으나 별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1683년 정씨 가문에서 내분이 일어나자 강희제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군대를 동원하여 타이완 정벌을 명했다. 정씨 일가는 투항해왔고 타이완은 푸젠 성으로 편입되었다.

중국 본토를 확고하게 장악하게 되자, 강희제는 북방의 적들에게 시선을 돌렸다. 17세기 중반에 헤이룽 강[黑龍江] 유역까지 남진했던 시베리아 지역의 러시아인들은 강희제의 통치 이전부터도 알바진과 네르친스크까지 내려와 요새를 세웠으나 청군에 의해 격퇴된 바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인들은 그뒤 요새를 곧 수복했고, 그 지역에 더 많은 요새를 세웠기 때문에 강희제는 이들에게 일격을 가할 준비를 했다. 1685년 청군은 알바진을 공격하여 며칠 만에 그 요새를 함락시켰으나 청군이 철군하자마자 러시아인들은 그 요새에 또다시 인원을 배치했다. 강희제는 그 이듬해 다시 정벌을 명령했고, 포위공격은 오래 지속되었다. 동시에 강희제와 러시아의 표트르 대제는 외교협상을 벌여 네르친스크 조약(1689)을 맺었다. 네르친스크에 파견한 청의 대군(大軍)에 압도되어 맺게 된 이 조약에 따라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은 헤이룽 강의 외곽지류인 고르비트사 강 유역과 스타노보이 산맥으로 정해졌다. 이로써 헤이룽 강 유역과 청조의 본거지인 만주는 청의 수중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 다음으로 강희제는 외몽골을 합병시켰다. 외몽골의 서쪽과 톈산 산[天山] 북쪽에 사는 유목민 준갈이부(準爾部 : 몽골4부의 하나) 오이라트족의 통치자인 간덴은 야심만만한 인물로 동터키스탄을 정복했고, 이어서 외몽골의 할하족 영토를 침입한 바 있었다. 많은 수의 할하족 난민들이 내몽골로 피해와서 청의 보호를 요청했다. 1691년에 강희제는 내몽골의 돌론노르(나중에 둬룬 현[多倫縣]으로 개명)에서 할하족의 대표들을 접견했고, 또 이곳에서 그들의 공식적인 합병맹세를 받았다. 1696년에 강희제는 불모의 고비 사막을 건너 외몽골 원정에 나섰다. 과감하면서도 대단히 위험스러운 그 원정에서 강희제는 중군(中軍)을 손수 지휘했다. 적대적인 이역에서 배고픔과 목마름을 이겨냈고, 오늘날의 울란바토르 동쪽인 준모드에서 준갈이부를 궤멸시켰다. 간덴은 그 다음해 알타이 산맥의 은신처에서 자결했다. 할하족이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자 외몽골은 청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준갈이 부족이 1717년 티베트를 침입하여 라싸[拉薩]를 함락시킬 때까지 20여 년 동안 청과 준갈이부족 사이에는 평화가 지속되었다. 티베트의 다라이 라마가 몽골족에 미치는 정신적 영향력을 염려한 나머지 강희제는 1720년 티베트로 군대를 보내, 준갈이부족들을 라싸에서 축출하면서 이 지역을 제국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강희제는 1712년 준갈이부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17세기 초반에 남러시아로 이주해온 투르구트족, 또는 볼가 칼미크족에게 사절을 파견했다. 무수한 수로를 이용하여 시베리아 전역을 여행한 만주사절들이 3년 뒤에 돌아오자, 그 일행 가운데 사람인 툴리센[圖理琛]이 〈이역록 異域錄〉이라는 상세한 여행기를 써냈다.


제국의 행정

강희제는 천부적으로 놀라운 정력과 뛰어난 궁술(弓術)의 재주를 지닌 탁월한 군사지도자였다. 그는 일상적인 행정업무에 지칠줄 모르는 정력을 쏟았다. 중국의 전통적인 황실제도에 따르면, 제국에서 일어나는 그 어떤 사소한 일도 황제가 몸소 보살피게 되어 있었다. 강희제는 자신에게 제출되는 보고서와 비망록들을 모두 읽으면서 심지어는 아주 사소한 오자(誤字)도 지적해냈다. 또 하루에 300~400건에 달하는 문서를 모두 결재했고, 심지어 전시(戰時)에도 이렇게 했다.

강희제가 늘 신경썼던 문제는 황허 강[黃河]의 치수(治水)였다. 오랫동안 치수사업을 하지 않은 탓으로 황허 강과 화이허 강[淮河]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의 유역은 자주 침수되었다. 이 때문에 장시[江西] 북부지역은 큰 피해를 당하곤 했다. 1677년 강희제는 근보(輔)를 치수사업의 총책임자로 임명했고, 근보는 1683년에 제방축조와 준설사업을 완성하여 황허 강의 흐름을 안정시켰다. 아울러 황허 강과 남쪽의 양쯔 강[揚子江]을 잇는 인공운하인 대운하의 개수작업이 활발히 진척되어 남쪽의 곡창에서 생산되는 곡물들을 북쪽으로 대량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 치수사업의 결과를 검사하고, 남쪽의 부유한 문화·경제 지도자들과 친교를 돈독히 하기 위해 강희제는 양쯔 강 이남의 지역을 1684~1707년 사이에 6번이나 방문했고, 그때마다 여비는 황제의 사재를 털어 충당했다. 개인생활은 근검절약으로 일관했고, 시중을 드는 궁녀와 환관도 몇 사람에 불과했다. 강희제는 세수입(稅收入)을 증대시키는 일이 결코 없었고, 전시에도 세수입을 늘리지 않았다. 실제 그의 통치 시기에 세금은 여러 차례에 걸쳐 감면되었다. 1711년부터 3년 동안 각 성(省)은 도합 3,000만 은량이 넘는 세금감면을 받았다. 강희제는 1711년부터 인두세를 내는 성인(成人)의 수를 당시의 수준에서 영원히 동결한다고 선포했다.

타이완 정벌 이후 강희제는 연안무역의 규제를 해제하고 광둥[廣東]을 포함한 4개의 항구를 외국 선박들에게 개방했다. 외국 상인들은 차·비단·도자기 같은 중국제품을 사기 위해 중국에 은(銀)을 가져왔다. 이같은 교역과 내부의 평안은 특히 양쯔 강 이남 지역에 엄청난 산업성장을 촉진시켰다.

강희제는 학문을 매우 좋아했다. 학문에 대한 그의 열정은 나이가 들면서 더욱 깊어져 과로로 병석에 누웠을 때에도 책을 놓지 않을 정도였다. 1677년 쯔진청[紫禁城]에 '남서방'(南書房)이라는 서실을 설치하고, 이곳에서 당대의 석학들과 철학·역사 등을 주제로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그는 특히 주자(朱子) 철학에 심취하여 주자가 내세운 유교적 이상을 열심히 실천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만주족이 세운 청조가 중국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족의 신임을 얻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유교철학으로 교육을 받은 중국관리들을 선발하는 전통적인 과거제도 외에도 강희제는 1678년 학문과 문장에 탁월한 재능을 갖춘 사람들을 추천에 의해 관리로 등용하는 특별제도를 만들었다. 이렇게 하여 한림원(翰林院)에 임명된 50명의 인사들(이중에는 유명한 학자 朱彛尊도 끼어 있다)은 명조의 공식 사서인 〈명사 明史〉를 편찬했다. 강희제가 편찬을 명한 다른 책들로 유명한 것은 4만 2,000자의 한자가 수록된 〈강희자전 康熙字典〉(1716), 중국어의 운율(韻律) 사서인 〈패문운부 佩文韻府〉(1711), 운율의 백과사전인 〈연감유함 淵監類函〉(1710) 등이 있다. 또 다른 훌륭한 백과사전인 〈고금도서집성 古今圖書集成〉은 10만 장(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또한 강희제 때 시작된 것이다.

교육분야를 본다면, 1669년 16개조로 된 칙서를 반포했다. 이것은 선제인 순치제가 반포한 6개조를 수정·확대한 것으로 향리의 생활실천수칙을 상술한 것이다. 이 교육이념은 그의 아들이며 후계자인 옹정제(雍正帝)에 의해 확대되었고, 거의 250여 년 동안 중국 농민들의 도덕적 지침이 되어왔다.

유럽의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열렬히 받아들였던 강희제는 많은 예수회 선교사들을 고용했다. 페르디낭 베르비에스트로부터 기하학을 배웠는데, 베르비에스트는 황실측후소의 부소장격인 흠천감부(欽天監副)가 되어 제국의 공식책력을 편찬했고, 또한 대포 제조에도 간여했다. 이 대포는 삼번의 난과 준갈이부족 정벌 때에 위력을 발휘했다. 장 프랑수아 제르비용, 조아섕 부베는 강희제에게 수학을 가르쳤다. 강희제는 또한 피에르 자르투, 장 바티스트 레지 등에게 명하여 제국의 정확한 지도를 편찬토록 했다. 측량조사는 1708년부터 시작되었고, 이들은 제국의 방방곡곡을 답사했다. 장기간에 걸친 끈질긴 측량조사 끝에 1717년에 〈황여전람도 皇輿全覽圖〉가 완성되었다. 장 바티스트 부르귀뇽 당빌이 펴낸 유명한 〈중국·타타르·티베트의 새 지도〉는 이 중국어판 지도를 프랑스어로 펴낸 것이다. 유럽의 회화도 역시 강희제를 매혹시켰다. 주세페 카스틸리오네와, 부베가 데려온 이탈리아인 조 기라르디니는 강희제가 총애했던 궁중화가였고, 이들은 유럽식 원근화법과 다른 활동들로 중국회화에 영향을 끼쳤다.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같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청조에 기여하게 되자, 강희제는 로마 가톨릭교를 좋게 보게 되어 1692년에는 로마 가톨릭교의 중국 내 포교를 공식으로 허락했고, 그뒤에는 쯔진청 안에 프랑스 선교사들의 거처를 마련해주었다. 또 자신이 말라리아에 걸려 병석에 누웠을 때 자신을 완치시켜 준 선교사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베이징에 교회를 지어 이들에게 하사했다. 황제가 로마 가톨릭교에 호의를 보이자, 도미니쿠스·프란체스코·아우구스티누스 같은 종단(宗團) 출신의 선교사들이 중국에 건너오게 되었다. 제사나 공자사당 및 천신단에 의식을 올리는 전통적인 중국의례에 관대했던 예수회와는 달리, 이들 다른 종단의 선교사들은 이같은 전통의례가 로마 가톨릭교 신앙과 배치되는 미신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의례논쟁은 1704년까지 맹렬하게 계속되었고, 이 해에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중국 로마 가톨릭교도들이 이같은 의례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하는 회칙을 내렸다. 자신의 제국 내에 이같은 내정간섭이 벌어지는 것에 격분한 강희제는 포르투갈 사람들에게 명하여 교황의 회칙을 가지고 중국으로 오는 교황특사 카를로 토마스 톰마소 마일라르드 데 토우르논을 체포했고, 1706년에는 예수회의 입장에 동조하지 않는 선교사들을 축출했다. 1720년에 또 다른 교황특사인 카를로 암브로조 메차바르바는 황제의 명에 의해 본국으로 송환당했다.

강희제는 3명의 황후와 여러 명의 첩을 두었다. 한 황후는 헤세리 문중인 소닌의 손녀이고, 다른 황후는 니오후루 문중인 에빌룬의 딸이며, 세번째 황후는 퉁 문중인 툴라이의 손녀였다. 이들 비(妃)와 빈(嬪)들은 모두 35명의 아들을 낳았다. 강희제는 1675년 한 살 반밖에 되지 않은 두번째 아들 윤잉(胤芿)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이 조치는 왕자들에게 동등한 왕위계승권을 인정하는 만주족 전통에 어긋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왕자들 사이에 끔찍한 싸움이 벌어졌다. 불운한 윤잉은 1708년에 폐위되었다가 1709년에 복권되었으나 1712년에 다시 폐위되어 영원히 복권되지 못했다. 이같은 일에 크게 상심한 강희제와 후대 황제들은 다시는 황태자를 지명하지 않았다.

1722년 설날, 황제는 궁중에서 대연회를 베풀고, 많은 원로들을 초청하여 자신의 장기간에 걸친 복된 치세를 자축했다. 그해 겨울, 강희제는 베이징의 북서쪽 교외에 있는 별궁 장춘원(長春苑)에 머물다가, 12월에 병으로 사망했다. 그 다음해 베이징의 북동쪽에 있는 마란유에 묻혔고, 능은 징링[景陵]이라 불린다. 제위는 그의 4번째 아들인 윤정(옹정제)에 의해 계승되었다.


中華人民共和國 秘密 陸軍參謀總長 兼 總司令官 盛中公 音王道士 朴正眞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톡톡튀는 아이디어! 논산농협 기호 4번 윤판수 이색 공약 눈길,,, 5월 3일 실시되는 논산농협  조합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기호 4번  윤판수 후보의    선거공약이  이채롭다.  논산시 지산동에서  대형 딸기농장을  운영하는  윤판수 후보는  딸기농사로만  연간  6억원을  훨신  상회하는  조수입을  올릴만큼  전문 농업경영인이다.논...
  2. 와우 ! 대박예감... 신개념 에이스롤러장, .카페 '오슈 신장 개업 논산에  최신 시설을  구비한  대형 실내  롤러스케이트장이  문을 열었다.  롤러 스케이트  방방  키즈까페 등을    주유한 뒤  잠시 몸을  내려 쉬며 커피를  비롯한  다양한 취향의  차향 [茶香]을  함께  탐닉할  " 까페 오슈"도  함께다.  논산시 내동 아주아파...
  3. 연산중학교, 사제동행 어울림 한마당 운영 연산중학교, 사제동행 어울림 한마당 운영  연산중학교(교장 김진구)는 지난 23일(화) 전교생을 대상으로 논산시청소년문화센터에서 주관하는 찾아가는 청소년 문화강좌 ‘사제동행 어울림 한마당’를 운영했다고 전했다.  찾아가는 청소년 문화강좌는 건강한 학교생활, 관계 형성 및 친밀감 증진,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해 학...
  4. "이변은 없었다"논산농협 조합장 선거 기호 4번 윤판수 후보 당선 5월 3일  치러진 논산농협 조합장 보궐선거에서  기호 4번 윤판수 후보가  총 투표수  2.775 표중  1338표를 얻어  압승의  영광을 안았다.  조합장으로서의 경영 능력을  인정받아  이번선거에서  이변을 노렸던 기호 3번  신석순 후보는  681표를  얻어  차점 낙선의  불운을  ...
  5. 2024 화지전통시장 옛살비 야시장 개막 , , 공직사회 총출동 ,,,, 논산시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편의 하나로  화지시장  상인회에  예산을 지원해  시행하는  2024년  엣살비  야시장  개막식이  5월  3일  오후 5시  화지시장  제2주차장    광장에서  열렸다. 백성현  논산시장 서원 논산  시의회  의장  최진...
  6. 기자수첩 ]유령단체? 시의회 의장 겨냥 사퇴요구 . 현수막에 시민들 싸늘한 반응 논산시 지역에" 미래희망  충청시민연대"  라거나  "불법 감시 시민위원회 " 라는  시민단체가  있는지  모르겠다. 가끔씩  등장하는  이 단체들의  명의로  시내 곳곳에  붙여지는  불법 현수막은    거대분  특정한  지역정치인을  겨냥하는 내용이어서  그배후와  그&...
  7. 논산시청 실업팀, 전국 대회 우수한 성적 쾌거! 논산시청 실업팀, 전국 대회 우수한 성적 쾌거!- 2024 남원 코리아 오픈, 2024 여수 KTFL 전국실업육상경기대회 출전 -- 총 11개 종목 입상 및 남자일반부 MVP 수상 - 논산시(시장 백성현)는 논산시청 소속 인라인 스피드팀(지도자 강호열·이은상)과 육상팀(지도자 한상옥)이 전국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인라인 스피드팀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